반응형

출처 : 서비스 및 파드용 DNS | Kubernetes

 

- 중요

- Pod 의 DNS 주소를 확인 방법

   위의 설명을 보면, Pod는 <pod-ip-address>를 dns 주소로 같는다고 했으므로,

   "1) Pod의 IP주소 확인,  2) Pod IP에  nslookup "  순서로 확인 한다.   

 

□ Pod 의 DNS 주소를 확인 예시

   1) Pod의 IP주소 확인

  - -o wide 옵션으로  Pod의 IP를 확인

 

 

2) Pod IP에  nslookup 

 .  Pod IP는  "." 을 "-"로 대체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kubectl exec -it busybox -- nslookup 192-168-1-16.default.pod.cluster.local

 

<Pod에  nslookup 성공>

 

  . Pod name을 사용할 경우 ( 실패한다) 

 

반응형

'클라우드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t용 Pod]  (0) 2023.06.28
[k8s-json] json query 맛보기  (0) 2023.02.10
[k8s]Node Drain - 2 (Pod)  (0) 2023.02.01
[k8s] security context 사용법(with multi-container)  (0) 2023.01.31
[k8s] 신규 인증서 생성, 승인  (0) 2023.01.27
반응형

□ 쓸만한 promql 

 1. k8s 

# 1. k8s 
#   =~: Select labels that regex-match the provided string.  (정규표현식 매칭가능) 
##
container_network_recevie_bytes_total{namespace="kubes-system",pod=~"weave.+"}

"=~" 표현식으로  weave 이하의 모든 pod들을 조회

반응형
반응형

1)  Java 경로, jvm 위치 확인

## java명령어 및  jvm 경로 확인

[node1 ~]$ which java                        ## 1. java 명령어 경로 확인 
/usr/bin/java

[node1 ~]$ ls -l /usr/bin/java                               
lrwxrwxrwx 1 root root 22 Feb  2 13:05 /usr/bin/java -> /etc/alternatives/java


[node1 ~]$ ls -l /etc/alternatives/java      ## 2. 링크파일의 원래 경로 "/usr/lib/jvm/~ 하위를 확인 가능" 
lrwxrwxrwx 1 root root 73 Feb  2 13:05 /etc/alternatives/java -> /usr/lib/jvm/java-1.8.0-openjdk-1.8.0.362.b08-1.el7_9.x86_64/jre/bin/java

jvm의 위치가 " /usr/lib/jvm/java-1.8.0-openjdk-1.8.0.362.b08-1.el7_9.x86_64/xxx"로 확인 됨.

 

2. jvm 위치에  cacerts 파일 확인 

 

3. keytool로 keystore list 확인

## keystore key list 확인  (default password: changeit) 

[node1 security]$ keytool -list -keystore \
"/usr/lib/jvm/java-1.8.0-openjdk-1.8.0.362.b08-1.el7_9.x86_64/jre/lib/security/cacerts"
Enter keystore password:


###   --storepaas 옵션으로, 패스워드 입력창 없이 확인 가능
[node1 security]$ keytool -list -keystore \
"/usr/lib/jvm/java-1.8.0-openjdk-1.8.0.362.b08-1.el7_9.x86_64/jre/lib/security/cacerts" \
–storepass changeit

  .  keylist 확인 결과

반응형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Map 순회 에러 방지  (0) 2025.01.02
hashset, treeset 비교  (0) 2024.12.22
hashmap vs treemap 비교  (1) 2024.12.21
이클립스 주요 단축키  (0) 2022.12.30
printf() 출력  (0) 2022.12.21
반응형

<Node Drain 실패>

controlplane ~ ➜  kubectl drain node01 --ignore-daemonsets
node/node01 cordoned
error: unable to drain node "node01" due to error:cannot delete Pods declare no controller (use --force to override): default/hr-app, continuing command...
There are pending nodes to be drained:
 node01
cannot delete Pods declare no controller (use --force to override): default/test-app

There are pending nodes to be drained:
 node01
cannot delete Pods declare no controller (use --force to override): default/hr-app

- 원인 : Drain을 하기 위해선 1개 이상의 Replicaset이 있어야 함.

             즉 deploy,replicaset 으로 replica를 1개 이상 유지 시킬 object가 필요한것이다. 

- 조치 :  1) Pod를   deploy, replicaset으로 바꿔주던지, 

              2) 아니면   " --force " 옵션으로  pod를 영원히 날려버리던지 

              ex) kubectl drain node01 --ignore-daemonsets --force

                 

 

반응형
반응형

ㅁ 각 위치별 security context 적용 범위 

 

Pod는 컨테이너를 담는 보자기? 그릇? 정도로 이해하면 빠를것 같다.

Pod 스펙  (yaml의 빨간색 부분)에 securityContext를 적용했다면 

Pod(보자기) 內 에 모든 컨테이너들이 적용을 받는 것이 맞지만,

컨테이너 스펙 에  SecurityContext( yaml파란색 부분)가 또 있다면,  

파란색 부분(runAsUSer:1002)를 적용 받는다. 

 

요약하면

- 빨간색 SecurityContext의 적용 범위 :   Container2(name:abc)  , Container3 (name:def)

- 파란색 Security Context의 적용 범위 :  Container1(name:web)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ulti-pod
spec:
  securityContext:
    runAsUser: 1001
  containers:
  -  image: ubuntu
     name: web
     command: ["sleep", “300"]
     securityContext:
      runAsUser: 1002

  -  image: ubuntu
     name: abc
     command: ["sleep", " 300"]

 -  image: ubuntu
     name: def
     command: ["sleep", " 300"]

※ 참조yaml

반응형

'클라우드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Pod의 DNS 주소  (0) 2023.02.08
[k8s]Node Drain - 2 (Pod)  (0) 2023.02.01
[k8s] 신규 인증서 생성, 승인  (0) 2023.01.27
[k8s] k8s인증서 종류(openssl)  (0) 2023.01.26
helm 명령어  (0) 2023.01.02
반응형

출처 : https://youtu.be/vrhpYiSlGdI

ORT Level1 설명 

 

ㅁ ORT Level1, Level1+ 차이 

- ORT Level1 :  Wordless book ,  글자가 없음 

- ORT Level1+ :  Reading북, 글자가 있음 



ㅁ Level1 제작 의도 


아이들이 리딩을 한다고 해서 바로 문자를 읽고 ,독해를 하는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행위, 기승전결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 

스토리를 알아가는 과정이 리딩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

반응형
반응형

신규 인증서 생성,승인 이걸 하는 이유?

 - k8s는 tls 기반으로 각 component에 엑세스를 하기때문에,  새로 추가된 멤버(개발자)에게 k8s 접근하기 위해선 ceriticate을 필요함.

 

□ 순서 

1.개인key, csr 파일 생성
2. k8scsr object 생성( .yaml작성)
3. k8scsr 승인
 
 
1. 개인key,csr 파일 생성 
 - key 생성 
# key 생성
[node2 pki]$ openssl genrsa -out tam.key 2048
Generating RSA private key, 2048 bit long modulus
...................+++
.....+++
e is 65537 (0x10001)

 - csr파일 생성

## csr파일 생성,   "CN=tam" (CN은  하고싶은대로 하면 됨) 
[node2 pki]$ openssl req -new -key tam.key -subj "/CN=tam" -out tam.csr
[node2 pki]$ cat tam.csr
-----BEGIN CERTIFICATE REQUEST-----
MIICUzCCATsCAQAwDjEMMAoGA1UEAwwDdGFtMIIBIjANBgkqhkiG9w0BAQEFAAOC
<중략>
-----END CERTIFICATE REQUEST-----

2. k8s csr object 생성( .yaml작성)

  ① :   "CN=tam" 으로 생성했기때문에,  name: tam으로 하면 됨

  ② : request 값은   tam.csr을 base64 encoding 한 값을 넣으면 됨 

  -> tam.csr을 base64 encoding  은   base64 -w 0 명령으로 한줄로 뽑으면 편함

### base64 인코딩 한줄로 출력

[node2 pki]$ cat tam.csr | base64 -w 0
LS0tLS1CRUdJTiBDRVJUSUZJQ0FURSBSRVFVRVN

   

ex) csr.yaml 작성예시 

### vi로  yaml 파일 작성
vi tam-csr.yaml

apiVersion: certificates.k8s.io/v1
kind: CertificateSigningRequest
metadata:
  name: tam
spec:
  request: LS0tLS1CRUdJTiBDRVJUSUZJQ0FURSBSRVFVRVNULS0tLS0KTUlJQ1V6Q0NBVHNDQVFBd0RqRU1NQW9 <중략>  
  signerName: kubernetes.io/kube-apiserver-client
  expirationSeconds: 86400  # one day
  usages:
  - client auth

3. k8s csr 승인

   ex) 

## create csr 
[node2 ~]$ kubectl apply -f tam-csr.yaml 
certificatesigningrequest.certificates.k8s.io/tam created




## 생성된 csr 확인 
[node2 ~]$ kubectl get csr
NAME   AGE   SIGNERNAME                            REQUESTOR          CONDITION
tam    35s   kubernetes.io/kube-apiserver-client   kubernetes-admin   Pending
 
## csr 승인 
[node2 ~]$ kubectl certificate approve tam   
certificatesigningrequest.certificates.k8s.io/tam approved

 

반응형

'클라우드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Node Drain - 2 (Pod)  (0) 2023.02.01
[k8s] security context 사용법(with multi-container)  (0) 2023.01.31
[k8s] k8s인증서 종류(openssl)  (0) 2023.01.26
helm 명령어  (0) 2023.01.02
[system log]failed to get system container stats  (0) 2022.12.19
반응형

 

□ base64 명령어  decoding, encoding 

## cat으로 certificate file 보면, decoding 된 data 확인

[node2 pki]$ cat front-proxy-ca.crt
-----BEGIN CERTIFICATE-----
MIIC7zCCAdegAwIBAgIBADANBgkqhkiG9w0BAQsFADAZMRcwFQYDVQQDEw5mcm9u
<중략>
-----END CERTIFICATE-----


## base64 실행하게되면 encoding된 data 확인
[node2 pki]$ cat front-proxy-ca.crt | base64
LS0tLS1CRUdJTiBDRVJUSUZJQ0FURS0tLS0tCk1JSUM3ekNDQWRlZ0F3SUJBZ0lCQURBTkJna3Fo
<중략>

 

□ base64  encoding data 한줄로 보기

  -w, --wrap=COLS       wrap encoded lines after COLS character (default 76).
                          Use 0 to disable line wrapping

위 내용 이해하려면 복잡하니깐,  "base64 -w 0" 쓰면 한줄로 나온다.

ex)  "base64 -w 0" 

##  base64 default명령어를 사용하면, 여러줄로 출력
[node2 pki]$ cat front-proxy-ca.crt | base64
LS0tLS1CRUdJTiBDRVJUSUZJQ0FURS0tLS0tCk1JSUM3ekNDQWRlZ0F3SUJBZ0lCQURBTkJna3Fo
a2lHOXcwQkFRc0ZBREFaTVJjd0ZRWURWUVFERXc1bWNtOXUKZEMxd2NtOTRlUzFqWVRBZUZ3MHlN
<중략>


## "-w 0" 옵션을 사용하여, 여러줄로 표시될 encoding data를 한줄로 볼수 있음

[node2 pki]$ cat front-proxy-ca.crt | base64 -w 0
LS0tLS1CRUdJTiBDRVJUSUZJQ0FURS0tLS0tCk1JSUM3ekNDQWRlZ0F3SUJBZ0lCQURBTkJna3Foa2lHOXcwQkFRc0ZBREFaTVJjd0ZRWURWUVFERXc1bWNtOXUKZEMxd2NtOTRlUzFqWVRBZUZ3MHlNekF4TWpjd01URTBNRFJhRncwek16QXhNalF3TVRFME1EUmFNQmt4RnpBVgpCZ05WQkFNVERtWnliMjUwTFhCeWIzaDVMV05oTUlJQklqQU5CZ2txaGtpRzl3MEJBUUVGQUFPQ0FROEFNSUlCCkNnS0NBUUVBM0FvdkJHdit3SUpVMjZIc2VzVGxrQU8vTjUzdmRqTHhUbFZBdjFPNGVzQ0ZNMXpLaE5uL1ZvYjEKSnRLSnFpMVpVYnpvZHdMTk1tbVhycU1sMm82WFJ4blJCNHl4dStKWHlyZTBmY0g1MnJCbUVNWlBlbUVDQ1BUdQpvT2NFNWFrdjhNYVRhTjBibzRURGFWRUQ1V01HNlpNZXVVdm5BZHlkN213V05NMldiUWxjWjVhVk1qTTRqMXhFCjErOHQzUjBPZUpyMkZyMzJET2NTYUUybHlUN3VGaThFeDE0RW0xSE9sSFpkV2NGRW5FTCs3a3BWaXRvUkYzMlQKak5JYmFnMEpkVnVzZGhDM0pMRitISE1DYUZoSkt2MDl3WTZuLy8rYld2a3hGZ3J4ZEJtTEhmQm9oQ3FtdmhjSApEZ1NmbFBhaFQvZUpMMU54ZnRiQktDSkFLalhVQlFJREFRQUJvMEl3UURBT0JnTlZIUThCQWY4RUJBTUNBcVF3CkR3WURWUjBUQVFIL0JBVXdBd0VCL3pBZEJnTlZIUTRFRmdRVUNKSDZXSkJ2Ylg0Q0kyalBHWjAwVkdhQk5QZ3cKRFFZSktvWklodmNOQVFFTEJRQURnZ0VCQUFjNC9yY2pTUC9RZGJlRVpiV3RtS2pHNTl3Y25oZ0ZveFZmd0lHSApzeW93ZzVBVlFQL0xBMFAxRHlzUFNBV3RCNFVRUUhwYXFIOUFKMWp5enlVRnNRWUhQbnlkeXpVeDI1dEVyL0ltCmxpMHJMWGkvYlBlbHRWWkdlQlEyR0c2cTE4MllDK1FjL2dxSUFQQU1hMVRRckl6bXpVZ1VHVUNoNE1aRVNxWTMKUzN1L2NEVG1Pb0xxbFlCRU5PNzhMVXVXNlhtT0Ywb0FVYVNGN3ppc0t0V245bmE4SUljUDZwTkVROFo4ZGsyWAowZTJyV0ZmaE0vd1Y1Zlo4MUFmdmFpUnBTTGJlVWhlRWhvcUVSMkx3WEs5WnNkZmR6a0xicnVsOHhiT1V0TElQCnpYMzA5cHFHUlZ2UnNVWmdzeXU4ZlFvcGVPVE5QZUsybUZKeGFIQ1JSTFRlYUZ3PQotLS0tLUVORCBDRVJUSUZJQ0FURS0tLS0tCg==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 server not responding  (0) 2023.01.21
I/O Error 확인  (0) 2022.12.21
find 명령/옵션 팁  (0) 2022.12.16
/etc/group- , /etc/passwd- 파일생성  (0) 2018.08.07
gvfs  (0) 2018.01.17
반응형

유튜브링크: https://youtu.be/xnojIIpWlf4

 

출처 : 하정훈의 삐뽀삐보119 소아과

※  주의

 이 글은  제가 잊어 버리지 않고, 빠르게 보기 위해 만든 글 입니다.

 제 요약이 원작자의 내용 전달 과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정보는 원본 동영상을 시청 하시기 바랍니다.

 

□ 중이염 요약

 - 중이염 이란?  :

1) 중이라고 부르는 고막 안쪽에 세균/바이러스 감염이 생기는 병.

2) 귀와 코 사이의 이관(유스타키오관) 이 잘 발달하지 않아서 중이염에 더 취약함.

 

- 증상 

 . 증상이 없기도 하고, 귀아프고 , 열나고, 보채고, 귀만지는 행동 등등

 

- 치료

 . 일반적으로는 항생제 치료 (아이가 어릴 수록 행상제를 적극 사용해야함) 

 . 물이 찬 증상이 3개월 이상 가는 경우 이비인후과가서 청력검사와, 수술 상담

 

- 예방 

 . 잘 쉬고, 잘 씻고, 누워서 우유병 빨지 말것

 . 단체 생활  주의 - 사람 적은 유치원이 좋다.

 . 중이염이 자주 재발한다면 청각 문제/언어 발달이 지연 될 수도 있음.

 . 독감접종 (4가 백신), 폐구균 백신(13가 백신) 역시 중이염 발생을 줄여 줄 수 있음

 

 

□ 중이염 증상

 

 

□ 중이염 치료 

 

□ 중이염 예방

반응형
반응형

유튜브링크 :https://youtu.be/IuBygBZtbtg

 

 

 

출처 : 하정훈의 삐뽀삐보119 소아과

※  주의

 이 글은  제가 잊어 버리지 않고, 빠르게 보기 위해 만든 글 입니다.

 제 요약이 원작자의 내용 전달 과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정보는 원본 동영상을 시청 하시기 바랍니다.

 

▶ 해열제 : 열을 정상으로 해주는 약이 아니다.

 

해열제 사용법

 

1)  해열제 사용법

 

용법(정량/정시)을 제대로 지킨다면 가장 안정한 약중에 하나이다.

열을 1-1.5도 떨어뜨리는 약이다.  (해열제는 열을 정상을 떨어뜨리는 약은 아니다)

 

주의사항

2) 사용시 주의사항

. 열이 떨어지면 안 먹이는게 일반적이지만, 진통이나 소염으로 사용한 경우는 계속(의사와 상담 필요)

. 용법을 지키면 안전한 약이지만, 용법을 지키지 않으면 간/신장에 손상을 초래함.

. 종합감기약에는 해열제 성분이 들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종합 감기약과  해열제를 함께 복용하지 않아야 함

. 시판용 해열제 개봉이후에는 한달이내, 처방 받은 해열제는 일주일 이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