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에프에이 종목분석 - 일시적 이익 훼손 : 네이버 증권 (naver.com)
많이 쌓인 수주잔고(거의 1조) , 2023년에 매출로 본격 인식 된다는데..
비 디스플레이분야도 매출비중이 높아졌고, 2차전지 좋고 올해는 기대 된다.
에스에프에이 종목분석 - 일시적 이익 훼손 : 네이버 증권 (naver.com)
많이 쌓인 수주잔고(거의 1조) , 2023년에 매출로 본격 인식 된다는데..
비 디스플레이분야도 매출비중이 높아졌고, 2차전지 좋고 올해는 기대 된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1091142i
세액공제가 가장 중요하다. 정부가 올초 반도체 업체 세액공제 8% 해준다고 했다가 공제율 높이지 않았나. 8%로는 도움 안된다. 미국, 대만도 세액 공제를 많이 한다. 반도체가 이미 전략무기화가 돼 있는데 한국만 뒤쳐지면 누구도 국내에 투자 안한다. R&D, 일감, 시스템, 인력 수준 다 퇴보할 수밖에 없다. 세액공제 30% 이상이 적정하다. 100%를 공제하는 중국은 자충수가 될 수 있다. 장비가 필요없어도 그냥 사기 때문이다. 국가 세금이 쓸데 없는 과잉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30%~50% 사이가 좋다고 생각한다.
-> "추격자로써 못해도 선두주자 대만(TSMC) 만큼은 세액공제가 필요 할 것 아닌가.." 생각했더니
이번정부에서는 세액공제 확대 해준단다.
윤석열 정부에서 잘한 일 하나 찾았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103_0002146093&cID=10401&pID=10400
우선 정부는 반도체 등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대폭 올릴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대·중견기업은 8→15%, 중소기업은 16→25%만큼 세금을 깎아주는 방안이다.
만약 투자 증가분에 대한 10%의 추가 세액 공제까지 고려하면 대기업은 최대 25%, 중소기업은 최대 35%의 세금 공제 혜택을 받게 된다.
정부는 이번 투자세액공제 확대 조치로 반도체 등에서 약 3조6500억원 이상의 추가 세 부담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2025∼2026년에는 연간 세수가 1조3700억원씩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 세수는 1.3조 줄겠지만 투자/ 고용효과는 감소된 세수보다 더 많은 경제효과가 있지 않을까..
[엘비세미콘] 주력제품 DDI (0) | 2021.09.15 |
---|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9319
페로브스카이트는 두 종류의 양이온, 한 종류의 음이온이 혼합된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다. 기존 태양전지의 소재인 실리콘에 비해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뛰어나다. 광전효율(빛을 전기로 변환할 때의 효율)도 높다. 그러면서도 제조 공정이 단순해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유니테스트는 지난 2015년부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중장기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해왔다. 또한 2021년 말 완공한 평택 소재의 신공장 내부에 시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구축했다. 유니테스트는 최근 해당 라인을 통해 시제품 제작을 완료하고, 여러 고객사와의 퀄테스트에 들어갔다.
이번 유니테스트가 생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소형 제품이다. 소형 디스플레이 등 주로 IoT기기에 활용될 전망이다. 퀄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올해 하반기에는 상용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유니테스트는 기대하고 있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 60% 쳐물린 유니테스트의 반가운 소식.
보유한지 1년째인데, 23년 하반기에 양산이 들어가면 , 24년에는 빛을 좀 보려나;;;
https://www.etnews.com/20210910000126
- 기사요약 :
DDI는 전력관리반도체(PMIC)·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와 함께 8인치 웨이퍼로 만드는 대표 반도체다.
8인치 웨이퍼 기반 반도체 생산을 담당하는 파운드리 주문이 밀려 DDI 공급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DDI가 없어서 TV를 못 만든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물량이 부족하니 DDI 가격이 오르고 이는 TV 가격 인상을 야기한다.
- 시사점
DDI 수요는 모바일/중대형으로 구분되는데, 21'Q 갤럭시/아이폰 신제품 출시 , 소비자들의 대형TV선호현상
재택근무/사회적거리두기로 집콕 현상이 증가-> TV/노트북 가전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정망한다.
※ DDI(Display Driver IC)
액정표시장치(LCD)와 OLED 등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많은 화소를 구동하는 반도체다.
DDI로 화소를 구성하는 빨강·녹색·파랑(RGB) 등 부화소를 켜고 끌 수 있다.
또 RGB 영상 신호 양을 조절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색상 차이를 만든다.
"삼성 반도체의 성공 경험…LBS에 이식할 것" (0) | 2023.01.09 |
---|
1) 글로벌 1위 탄산칼륨 생산업체 유니드
2) 탄소포집의 핵심소재 탄산칼륨의 성장세
- 탄소포집(CCUS) 기술이 주목받고 있고, 향후 10년간 20배 정도 성장할것으로 전망함
(‘20년 0.4억톤/년→‘30년 8억톤/년)
- 탄산칼륨의 폭발적 수요 근거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탄소포집 기술 "키어솔(KIERSOL)" SK그룹으로 기술이전 완료
. 키어솔(KIERSOL)이 탄산칼륨을 주 물질로 하기 때문에, 국내 대표 기술로 채택된다면
유니드의 탄산칼륨 수요증가 예상
-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이산화탄소를 포집 하여, 에너지 자원 으로 전환(Utilization), 저장(매립)하는 기술